반응형
반응형
단유하는 방법 알기 출산 후 바로 단유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모유수유를 어느정도 하다가 단유하시는 분들도 계실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출산 후 바로 단유를 결심했기 때문에 단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찾아봤습니다. 보통 모유수유를 하다가 직장복귀를 하거나, 젖몸살 등으로 단유를 결심하는 엄마들이 많더라고요. 단유를 마음먹고 젖을 말리기 위해서 보통 잘 알려져 있는 방법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엿기름 마시기 : 엿기름은 몸에 수분을 빼는 민간요법 중 하나이지만,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음 압박붕대하기 : 손이나 움직임에 자극이 되어 모유가 도는 경우 압박붕대가 도움이 됨 단유약 먹기 (팔로델정) : 3~4일 섭취하면 젖이 마르는 효과가 있으나 부작용 있는 편 단유차 마시기 수분섭취 줄이기 밤중수유 하지않기,..
붓기제거에 좋은 늙은호박즙 아르기닌 성분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늙은호박즙은 붓기빼는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0대 건강식에 포함될 정도로 이뇨작용을 돕는 성분이 늙은호박효능으로 잘 알려져 있어서 출산후 붓기차로도, 늙은호박을 즙으로 내서 많이 섭취하곤 합니다. 본초강목에는 속을 보하고, 기운을 더해준다고 기록이 되어있습니다. 늙은호박의 효능 오장을 편안하게하고 정신을 안정하게 한다 산후의 하복부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늙은호박의 시트롤린 성분은 소변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돕는다 루틴 성분이 염증을 억제한다 출산 후 붓는 몸에 호박 챙겨먹기 저도 시어머니가 늙은호박 한통을 물 조금 넣고 거의 원액수준으로 우려서 2L 정도 주셨는데, 다른 음료 대신 호박즙을 요즘 출산후 수시로 많이 먹고있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 확진 후, 오미크론 재확산기 다시 돌아오는 중 임신 36주4일차에 코로나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거의 집에 있다가 정말 간간히 외출했는데 어디서 옮아온 걸까요? 날씨가 추워지고 독감도 유행하면서 코로나 재유행이 또 시작되었습니다. 확진자가 연일 늘어나고 있고 독감 증상과 헷갈려서 다시 코로나가 걸린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저처럼 처음 코로나에 감염되신 분들도 계실 거고요. 자가 키트, 신속항원, PCR 검사 등으로 코로나 확진 후 또다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가격리기간은 언제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예전만큼 코비드 19가 그렇게 무섭게 느껴지지 않지만 그래도 전염성은 여전하고, 가족들과 같이 지내고 계신다면 스스로 뿐만 아니라 전염되지 않도록 건강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
임산부 왁싱 시기 36주 지나고 임신 10개월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다들 출산을 앞두고 분만방법도 정하셨을 텐데요, 저는 제왕절개이지만 자연분만이신 분들은 더욱 임산부 왁싱 시기에 신경 쓰실 것 같습니다. 임산부 브라질리언 왁싱 저는 36주 3일 차에 하고 왔습니다! 보통은 출산 10일 전에서 일주일 전으로 임산부 왁싱 시기를 잡는 듯하여, 저는 좀 이른 편에 속했지만 대개 임산부 브라질왁싱 시기는 수술 날을 잡았다면 일주일 전, 자연분만의 경우 38주 이후에 진행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임산부 왁싱 브라질리언 하는 이유 출산을 하기 전에 굴욕이 있다고 하죠. 병원에서 간호사님께서 제모와 관장을 해주시긴 하지만 눈썹 칼로 그냥 털을 슥슥, 대충 밀어버리기 때문에 추후 까끌 거림 때문에 통증을 호소하시는 분..
임신 36주 태아 몸무게, 크기 벌써 임신막달에 접어들었습니다. 34주 검진을 마지막으로 임신36주 정기검진을 다녀왔습니다. 2주가 느린 듯 쏜살같이 흘러 지나갔네요. 저는 배에 품은 아기가 32주 1.5kg 34주 1.8kg로 체중이 다소 적은 편에 속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그 사이에 엄청 많이 먹고 아기가 많이 자라있길 바랐습니다. 제 경우, 임신36주 태아몸무게는 2.1kg로 300g이 자라주었지만 아직까지 역아로 있어서 수술이 불가피하다고 하는데, 여러분의 아가는 뱃속에서 어떤가요? :) 임신36주에는 아기가 48cm~50cm 정도의 크기 태아의 몸무게는 2.5kg에서 3.4kg까지 커지며 몸에 살이 통통하게 오름 임신35주가 넘고, 몸무게가 2,500g을 넘고, 기능적으로 성숙한 상태일 때..
2023년 부모급여 목적 불분명이라니 국회입법조사처에서 최근 2023년 적용될 부모급여지급에 대한 지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2022년 출산 예정이고, 현재 출산휴가중에 있으며 2023년부터 육아휴직이 시작됨으로 육아휴직급여를 받게되는 대상자입니다. 하지만 육아휴직급여만으로는 치솟는 물가에 택도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윤석열정부에서 내건 2023년 부모급여지급 확대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부모급여 신설의 타당성 제고 방안보고서에는 1조2천억원의 재정을 검토하며 부모급여제도의 목적 자체가 불분명, 2023년 부모급여지급 관련 일관성이 다소 없다는 지적을 받았다고 하는데요. 현금급여 이외 부모급여목적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 영아기에 편중 현상을 심화시킨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육아휴직급여..